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투자자도 고객도 끌어당긴다! 돈이 되는 사업계획서 작성법

by 큰그림작은그림 2025. 5. 18.

단순 소개서로는 부족합니다. 투자자가 ‘돈이 보인다’고 느끼는 사업계획서는 따로 있습니다. 

성공률을 높이는 구조와 실전 작성법을 지금 확인해보세요.

돈이되는 사업계획서


목차

  1. 왜 대부분의 사업계획서는 돈을 못 끌어오는가?
  2. 돈이 되는 사업계획서의 3가지 핵심 기준
  3. 항목별로 보는 실전 작성 전략
  4. 실제 성공 사례 분석
  5. 투자자·정부·은행별 제출 전략 차이
  6. 사업계획서 작성 시 자주 하는 실수 TOP 5
  7. 결론: “스토리 + 숫자 + 실행력”이 핵심이다

1. 왜 대부분의 사업계획서는 돈을 못 끌어오는가?

사업계획서를 작성할 때 많은 창업자들이 범하는 실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 ✔ “내 아이디어가 얼마나 좋은지”만 설명
  • ✔ “누구나 쓸 것”이라며 고객 타깃을 명확히 못 정함
  • ✔ 수치와 시장 근거 없이 막연한 매출 기대만 제시

투자자·심사자·금융기관이 보는 포인트는 단 하나입니다:

“이 계획서에서 ‘돈이 어떻게 벌리고’, ‘어떻게 회수되는가’가 보이는가?”


2. 돈이 되는 사업계획서의 3가지 핵심 기준

시장성

: 이 아이템이 해결하는 문제가 얼마나 명확하고 시장이 존재하는가?

수익모델

: 이 사업이 언제, 누구에게, 어떻게 돈을 벌어들이는가를 수치로 설명할 수 있는가?

실행력

: 이 사업을 실행할 팀과 시스템이 준비되어 있는가? 성공 가능성은 있는가?

이 3가지를 충족하는 순간, **계획서는 단순한 문서가 아닌 ‘투자의 청사진’**이 됩니다.


3. 항목별로 보는 실전 작성 전략

 1. 사업 개요

  • 사업 아이템을 한 문장으로 정의 (ex: “○○ 시장의 ○○ 문제를 해결하는 ○○ 플랫폼”)
  • 왜 지금 해야 하는지 시장 타이밍 요인 포함

✅ 예: “전국 1인 가구 700만 시대, 반려동물 중개 플랫폼 필요성 증가”


2. 시장 분석

  • 시장 규모(정량) + 성장률(트렌드) + 고객 유형(정성)을 수치 기반으로 제시
  • 경쟁사 분석 시 “우리가 무엇이 다른가?”(차별성) 강조

✅ 예: “OO시장 규모 4.5조 원, 연평균 성장률 11%, 경쟁사는 대기업 플랫폼 중심”


 3. 비즈니스 모델(BM)

  • 수익 구조(Sales Model), 유료 고객 전환률, 평균 매출 등을 구체적으로 표현
  • B2B, B2C, 구독형, 광고형 등 수익 경로 명확히 제시

✅ 예: “무료회원 중 5%가 유료 전환 → 월 3만 원 구독 → 1인당 연매출 36만 원 예상”


4. 실행 계획 및 일정

  • 제품 개발, 마케팅, 조직 구성 계획을 6~12개월 단위로 일정표 형태로 제시
  • ‘누가, 언제, 무엇을’에 기반한 액션 중심 구성

✅ 예: “23년 2Q: MVP 개발 완료 → 3Q: 베타테스트 → 4Q: 정식 론칭 및 광고 집행”


5. 팀 구성과 역량

  • 공동창업자의 이력, 전문성, 과거 성과를 중심으로 실행 가능성을 뒷받침
  • 외부 고문, 자문단, 파트너사 정보도 포함 시 신뢰도 ↑

✅ 예: “CTO는 네이버 출신, AI 프로젝트 리딩 경력 8년 보유”


 6. 예상 수익 및 손익계산서(추정 손익)

  • 3년간 매출, 비용, 순이익 추정표(Ex. 엑셀 기반)
  • 단순 낙관이 아닌, 시장 기반의 “매출 공식”을 증명해야 함

✅ 예: “월간 방문자 1만 명 × 전환율 3% × 단가 5만 원 = 월 매출 1,500만 원”


4. 실제 성공 사례 분석

사례 1. B2B SaaS 스타트업
→ 정부지원금 2억 원 유치
→ “기존 ERP의 불편함 해결”이라는 고객 니즈 중심 설계

사례 2. 지역 기반 커머스 앱
→ 초기 투자 5천만 원 확보
→ 고객 인터뷰 기반 데이터 반영 + 실제 MVP 전환 성공률 수치 제시

공통점은?
“문제 정의”가 뚜렷하고, “시장 근거와 숫자”로 설득했다는 점입니다.


5. 투자자·정부·은행별 제출 전략 차이

대상포인트유의사항
투자자 성장성, 회수 전략, Exit 모델 수익구조 명확히, IR Deck 별도 필요
정부지원금 고용창출, 사회적 가치, 기술혁신성 실제 창업 의지 강조, 자금 사용 계획 필요
금융기관 안정성, 수익성, 상환능력 담보 자료, 현금흐름표 필수 포함
 

6. 사업계획서 작성 시 자주 하는 실수 TOP 5

  1. “시장”이 아니라 “제품”만 설명함
  2. 경쟁사를 비판만 하고, 대안 없이 끝냄
  3. 매출 추정이 ‘감’에만 의존함
  4. 실행 일정이 없는 추상적 설명
  5. 팀 역량을 ‘학력·자격증’ 중심으로만 소개

📌 해결 전략:
문제 → 시장 근거 → 솔루션 → 숫자 → 실행력의 논리 흐름으로 구성하세요.


7. 결론: “스토리 + 숫자 + 실행력”이 핵심이다

돈이 되는 사업계획서는 단순한 PPT가 아닙니다.
그것은 “이 팀이 이 문제를 이렇게 해결해서 이렇게 돈을 벌 수 있다”는 믿을 수 있는 시뮬레이션입니다.

✔︎ 문제는 명확하고
✔︎ 시장은 존재하고
✔︎ 팀은 실행할 수 있고
✔︎ 수익 구조는 검증 가능하고
✔︎ 숫자는 근거에 기반해야 합니다.

이 모든 것을 10~15페이지 이내에 스토리텔링으로 정리하면,
그 사업계획서는 돈을 부릅니다.


내부 링크 추천

외부 참고 링크


📣 지금 사업계획서를 준비 중이신가요?

궁금한 항목이나 피드백이 필요하시면 댓글로 질문 주세요!
또한, 블로그 구독하시면 무료 사업계획서 템플릿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